spring boot 4

다중 셀렉트박스 만들기

■ 다중 셀렉트 박스 만들기 이전에 포스팅했던 내용을 활용하고 추가적으로 다중 셀렉트 박스를 만들어 보려고한다. 우선 이전에 적었던 insert, select를 활용하여 의류를 등록하고, 셀렉트 박스에서 등록한 의류 목록을 볼 수 있는 페이지를 만들었다. 이전에 적었던 내용과 비슷하여 이 부분은 따로 코드를 추가하지 않았다. 의류 종류를 선택하고 해당 의류에 항목을 추가할 수 있는 html을 만들어주었다. 그리고 종류의 셀렉트 박스는 기존에 사용했던 의류 등록하기 페이지에서 만들어준 코드 재사용할 수 있기에 가져와주었다. $(function(){ $.ajax({ type : "get", url : "/clothes/showall", dataType : "json", success : (res) => { ..

spring boot 2023.11.23

@GetMapping @PostMapping 활용하기2

■ GetMapping과 PostMapping 활용지난 게시글에서 insert와 select를 이용해서 추가, 목록 출력을 해보았는데 이번에는 update를 이용해서 수정을 해보려고한다. 우선 출력된 목록에서 "수정"을 누르면 수정할 수 있는 html을 만들어주었다. 그렇다고 해서 1번의 수정을 누른다고 해서 바로 해당 id, passwd 등에 맞는 html을 띄워주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수정을 눌렀을때 num에 맞는 데이터들을 보여주어야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GetMapping("/updateshow") public String updateShow() { return "users/update"; } 아래와 같이 @RequestParam을 이용하여 int id, model을 파라미..

spring boot 2023.11.20

@GetMapping @PostMapping 활용하기

■ GetMapping HTTP GET 요청을 처리하는 메소드를 맵핑하는 어노테이션으로 어떤 페이지를 보여줄지 결정하는 역할을 하며 url에 데이터를 포함시켜 요청한다. @Controller @RequestMapping("/users") public class SigninController { @GetMapping("/signin") public String getSignin() { return "users/signin"; } } ■ PostMapping HTML에서 태그를 사용하거나 ajax를 활용하여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때 주로 사용된다. @PostMapping("/signin") @ResponseBody public Map setSignin(@ModelAttribute SigninDto signi..

spring boot 2023.11.17

스프링과 스프링부트 기초

■ 스프링 Spring 스프링은 Java를 기반으로 한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이며 자바 객체와 라이브러리들을 관리해주며 tomcat과 같은 웹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내장되어있다. 또한 자바 객체를 직접 스프링 안에서 관리하며 객체의 생성 및 소멸과 같은 생명주기를 관리한다 제어의 역전(Invert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은 객체의 제어권을 프레임워크 컨테이너에게 넘기는 개념이다. 자바에서는 사용자가 각 객체를 직접 생성하고 제어해야했다면 스프링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Bean(객체)을 등록하면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객체의 생명주기를 컨트롤 해준다.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은 클래스간의 의존성을 클래스 외부에서 주입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객체를 외..

spring boot 2023.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