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프링 Spring
스프링은 Java를 기반으로 한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이며 자바 객체와 라이브러리들을 관리해주며 tomcat과 같은 웹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내장되어있다. 또한 자바 객체를 직접 스프링 안에서 관리하며 객체의 생성 및 소멸과 같은 생명주기를 관리한다
- 제어의 역전(Invert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은 객체의 제어권을 프레임워크 컨테이너에게 넘기는 개념이다. 자바에서는 사용자가 각 객체를 직접 생성하고 제어해야했다면 스프링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Bean(객체)을 등록하면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객체의 생명주기를 컨트롤 해준다.
-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은 클래스간의 의존성을 클래스 외부에서 주입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객체를 외부에서 생성하여 사용하려는 객체에 주입시켜주는 방식으로 직접 생성을 하는 경우 변경사항이 있을때 서로에게 영향을 많이 끼치게 되지만 외부에서 직접 생성하여 관리하는 경우에는 의존성이 줄어든다. 즉 의존성 주입은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히고 결합도를 낮춰주는 역할을 한다
- 관점지향 프로그래밍(AOP)
AOP는 관점을 기준으로 핵심기능과 부가기능을 구분해 여러개의 클래스에서 반복해서 사용하는 코드가 있다면 공통 모듈을 분리시켜 코드의 중복을 줄이고 유지보수를 향상하는데 도움을 준다.
■ 스프링 부트 Spring boot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의 많은 부분을 자동화하여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자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웹 프레임워크이다.
- 특징
- 내장 톰캣 서버를 포함한 자체 실행 가능한 JAR 파일 생성
- 자동 설정을 제공해 별도의 XML 설정 파일을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비해 간편하고 빠른 개발이 가능하다
- Starter 라이브러리를 등록하여 의존성을 간단하게 관리할 수 있다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중 셀렉트박스 만들기 (0) | 2023.11.23 |
---|---|
@GetMapping @PostMapping 활용하기2 (4) | 2023.11.20 |
@GetMapping @PostMapping 활용하기 (0) | 2023.11.17 |